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힐링 여행 지역 안반데기에서 벌어지는 토양 침식 문제

by ktraveler 2022. 4. 13.

힐링 여행 지역 안반데기에서 벌어지는 토양 침식 문제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힐링 여행 지역으로 급부상하는 안반데기

사람들이 최근 가장 강조하는 것 중 하나는 힐링입니다. 여행을 하고 관광을 위해 떠날 때 꼭 하는 말이 힐링을 하고 온다는 말입니다. 힐링은 어딘가에서 다른 누군가의 간섭을 받지 않고 번잡한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어딘가의 멋진 풍경과 공기가 좋고 여유로운 마음으로 쉬는 것입니다. 그리고 안반데기와 같은 강원도 오지 지역은 과거에는 찾는 사람이나 거주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지만 최근 다시 사람들이 돌아와서 살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또한 힐링 관광이나 여유를 찾고자 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새로운 관광산업이 발생하며 겨울철에도 이 지역을 찾는 사람들이 생기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고원 지역이자 고랭지 농업 지역 안반데기

 

우리나라 대표적인 고원 지역이자 고랭지 농업 지역 안반데기

우리나라 대표적인 고원 지역이자 고랭지 농업 지역 안반데기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고원 지역이자 고랭지 농업 지역 안반데기 안반데기 또는 안반덕이라 불리는 곳은

ktraveler.tistory.com

 

고랭지 농업과 토양 문제

안반데기나 같은 고원 지역의 경우 고랭지 농업이 많이 이루어집니다. 조건은 물이 풍부해야 하고 온도 조건이 부합해야 합니다. 이때 지역에서 많은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보니 물의 수요가 많아지는 상황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농업지역도 늘어나고 찾아오기 시작한 관광객들도 늘어나고 있어서 지역 환경에 가해지고 있는 압력도 함께 증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물을 많이 사용을 하다 보니 결과적으로는 토양도 많은 부분에서 힘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토양이 힘을 잃는다는 말은 여러 의미를 가지는데 일단 먼저 토양의 양분 자체가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과거에 토양에 형성되어 있었던 유기층이나 유기물로 만들어진 자연 퇴비 물질들이 점차 줄어들게 되고 그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사람들이 많은 양의 화학 비료를 사용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또다시 문제가 발생을 하게 됩니다. 여기에 흘러내려가는 물의 수질 문제도 발생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토양 침식 문제의 발생 원인

추가적으로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가 토양의 침식 문제입니다. 토양의 침식 문제가 심각해지는 이유는 여름철의 극심한 호우에 의한 것도 있지만 겨울철 같은 경우 작물이 전혀 재배가 되지 않는 붉은빛의 흙으로 남아있는 상태가 되어 있는데, 이런 상태의 흙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겨울철 눈이 녹은 물이 흘러내리거나 봄철에 이러한 흐르는 물들이 늘어나 흘러내리게 되면 물이 흘러가는 과정에서 주변의 토양도 같이 씻겨져 내려가게 됩니다. 강원도의 경우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소양호나 도암댐 등의 지역에서 흙탕물 문제가 발생을 하게 됩니다.

 

 

토양 침식으로 인한 수질 악화

고랭지 농업 지역에서의 침식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을 하게 되고 이러한 결과로 씻겨져 내린 모래나 진흙이 댐에 존재한 물의 수질을 나쁘게 만드는 상황이 벌어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 환경부나 강원도의 많은 사람들이 모여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겨울철에 이러한 토양 침식을 막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인데, 일부에서는 물이 흘러 내려가는 고랑 곳곳에 침사지라는 흙을 잡아 둘 수 있는 넓은 땅을 만들어두는 것을 통해 흙을 잡아두었다가 농사를 지을 때 다시 이 흙을 가지고 올라가서 뿌려서 이용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조그맣게 고랑들을 만들어 등고선과 맞춰 경작을 하고 흘러가는 물이 급하게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조금 돌아가게 만들어 침식을 줄어들게 만드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농민 입장과 수질 관리 입장의 충돌

간혹 이러한 방법을 찾고자 하는 의도를 농민분들은 농사를 짓지 말라는 이야기냐는 입장을 표명하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 농민분들의 입장과 수질을 관리해야 하는 입장 간에 충돌을 하는 문제도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논의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하나의 입장과 다른 반대의 입장이 있고 모두가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옳고 틀리다 말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일방적으로 하나의 입장을 관철하고 강요만을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사회적인 문제와 환경적인 문제를 고민할 때는 서로 간의 조화를 잘 이룰 수 있도록 납득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 됩니다. 

 

댓글